제목 | 임신 중 잦은 생선 섭취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 ||||
---|---|---|---|---|---|
작성자 | Dr.Maru | 조회수 | 1906 | ||
임신 중 잦은 생선 섭취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임신중인 산모는 식품섭취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전한 식품 섭취가 무엇보다 중요하겠죠? 임신부가 생선을 먹으면 총명한 아기를 낳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지만 이번에는 임신부가 생선을 자주 먹으면 태아가 수은에 노출돼 위험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연구기관 통영미래산부인과,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ㆍ해양산업연구소 연구대상 및 연구내용
경남 통영지역 임신부 159명을 대상으로 생선소비와 제대혈의 수은 농도 관계를 연구 연구 기간 2010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10%가 넘는 17명의 제대혈 수은 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허용기준(5.0ppb)을 초과. 연구 내용들 1. 제대혈 수은 함량 제대혈 수은 함량이 WHO 허용치의 3배에 달하는 14.8ppb가 검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2. 섭취 정도 일주일에 3회 이상 생선을 섭취한 임신부의 제대혈 수은 함량 평균치는 생선을 먹지 않은 임신부보다 2.6배 많아 생선 섭취 횟수가 잦을수록 수은 농도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3. 연구대상 어종 고등어, 갈치, 참치, 광어 등 다양한 어종이 포함됐지만 어종별 수은 농도의 차이는 없었습니다.
4. 요리방식 – 뼈나 내장이 들어가는 국이나 찌개가 조금 더 위험 뼈나 내장이 들어가는 국이나 찌개가 구이나 회보다 수은 검출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체의 메틸수은 노출 원인 인체의 메틸수은 총 노출량의 99% 이상이 어류 섭취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메틸수은이 위험한 이유
메틸수은은 태반을 쉽게 통과하는데 임산부가 노출될 경우 모체에는 중독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태아의 사산이나 기형아 출산의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임산부의 생선섭취에 대한 선진국의 사례
선진국에서는 임산부와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에게 생선섭취 횟수와 섭취량을 제한하고 있다고 합니다 임산부의 생선 섭취에 대한 식약청의 지침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11년 10월 참치, 황새치 등 심해성 어류에는 메틸수은 함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임신부나 가임여성, 수유모, 유아 등은 주 1회, 100g 이하로 섭취하라는 지침을 고지했습니다. 임산부가 주의해야 하는 생선
고등어 등 등푸른 생선은 오메가-3 등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 무기질 등 건강에 좋은 성분이 많이 함유됐지만 임산부나 환자들이 섭취할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임신 중 생선 섭취에 대한 외국 대학의 연구 결과
스페인 그라나다 대학 연구팀의 연구결과 오메가3, 태아 뇌 발달과 시력 향상에 효과 – 너무 많이 먹는 것은 자제해야
20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 20주째와 출산 후를 각각 관찰했는데 임신 중에 참치, 정어리, 연어 등 기름기 많은 생선을 먹은 산모들의 아기는 지능과 신체 능력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나 임신중에 생선을 많이 먹으면 총명하고 사회성이 좋은 아기를 낳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지만 그 연구결과에서도 임신 중에 기름기 많은 생선을 너무 많이 먹는 것은 아기에게 좋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