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여성불임]여성불임의 원인과 여성불임 예방법 | ||||
---|---|---|---|---|---|
작성자 | Dr.Maru | 조회수 | 1555 | ||
[여성불임]여성불임의 원인과 여성불임 예방법
여성불임은 여성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고 이로 인한 스트레스는 스스로에게 감당할 수 없는 마음의 짐이 됩니다. 이러한 어려움도 사전에 준비하고 예방하면 조금이나마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겠죠? 여성불임의 원인과 생활 속 예방법, 검사 및 치료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여성 불임의 원인 3가지 1.난자의 생성이나 배란 문제 난자는 난소에서 성숙과정을 거쳐서 한 달에 하나씩 배출되며, 이를 배란이라 합니다. 난자가 생성되고 성숙 과정을 거쳐 배란되는 모든 과정은 호르몬들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들 호르몬의 균형이 깨어지면 난자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무월경, 희발월경, 빈발월경, 무배란성 월경 등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르몬 외의 원인에 의해 배란에 문제를 가져오는 경우는 난소 낭종 (난소 양성 종양)이나 자궁 내막증이란 질환입니다. 이들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배란에 방해를 받습니다. 2.정자와의 수정 문제 난소에서 배출된 난자는 난관 (나팔관)으로 빨려 들어가며, 보통 이곳에서 정자와 만나 수정되게 됩니다. 골반의 염증성 질환이나 선천적인 원인 등에 의해 난관이 유착된 경우, 혹은 혹이 생겨 통로가 폐쇄된 경우에는 난자가 난관에 진입할 수 없으며, 정자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됩니다. 자궁 경부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수정에 방해를 받습니다. 자궁 경부에서는 질을 보호하고 정자의 운동성을 도와주기 위해 점액이 분비되는데, 점액 농도가 지나치게 진하거나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자의 활동을 방해하게 됩니다. 자궁 경부가 폐쇄되어 정자가 유입되지 못하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선천적으로 질이 결여되거나 폐쇄된 경우, 성교시의 질의 경련, 질의 염증 등에 의해서 정자의 자궁 도달에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3.수정된 난자의 착상 문제 수정란은 자궁 내막에 착상하여 세포 분열과 함께 정상적인 태아로 발달하게 됩니다. 수정란에 선천적인 유전자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많은 경우 퇴화되어 자연 유산됩니다. 수정란에는 문제가 없고 정상적으로 착상이 이루어진 경우에라도 이를 유지시켜주는 황체 호르몬 (프로게스테론)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궁 벽이 탈락하여 월경이 나타나게 되며 수정란도 소실되게 됩니다. 자궁 내막에 근종이 있는 경우에는 착상이 방해를 받으며, 자궁 발육 부전에 의해서 불임이 되기도 합니다. 여성불임 예방법 1.아랫배를 언제나 따뜻하게 해 줍니다 자궁은 차가운 기운에 약합니다. 여름에 하복부를 드러내는 배꼽티, 짧은 미니스커트 등은 피하고, 차가운 곳에 오랫동안 앉아 있지 않습니다. 2.식생활 주의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피한다. 백미보다는 잡곡밥이 좋고, 제철 음식과 채식위주의 식사를 합니다. 육류보다는 생선을, 끼니는 거르지 않고 먹습니다 3.적당한 체중유지 축적된 지방이 호르몬 분비의 균형을 무너뜨려 `무월경`이나 `자궁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다이어트 역시 `무배란무월경`을 불러 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4. .흡연을 피하고 음주는 적당히 한다 여성의 흡연은 자궁과 난소의 혈액순환과 난관의 운동을 방해합니다. 과음 또한 호르몬의 불균형을 일으킵니다 5.올바른 성생활 문란한 성생활로 자궁에 매독, 임질등이 유발되면 난관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6.꽉끼는 옷은 피한다 너무 꽉 끼는 옷은 혈액순환을 방해하며 통풍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세균이 번식하여 질염등의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7.나이가 많은 부부라면 둘째 출산을 늦추지 않는 게 좋습니다 8.냉난방에 주의해야 합니다 여름철 차가운 에어컨에 장시간 노출을 피합니다. 9.환경호르몬의 노출을 피합니다 10.하루 30분 이상 운동을 해야 옴 몸의 대사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여성 불임의 검사 및 치료 방법 1.기본검사 기본적인 전신 질환 유무를 확인합니다 2.부인 초음파 검사 자궁 및 자궁경부, 난소의 이상 및 기타 골반 내 이상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임신을 위한 해부학적 구조에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궁의 선천성 이상, 자궁근종 및 선근종, 난소의 혹 유무 등을 확인합니다. 3.호르몬 검사 난소의 기능과 배란에 관여하는 호르몬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황체호르몬검사, 갑상선 기능검사, 유즙분비 호르몬 검사를 합니다. 4.자궁난관조영술 자궁경관을 통해 자궁내강에 조영제를 넣고 촬영함으로써 난관개통여부와 자궁의 모양등을 확인합니다. 5.복강경검사 복강내의 상태를 들여다 봄으로써 골반내 유착이나 나팔관 상태, 기타 골반내 질환유무를 파악하고, 필요시 치료를 합니다. 복강경 검사를 통해 자궁 내막증이나 골반염 등 복강 내 유착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 방법을 이용하거나 인공 수정을 시도합니다. 난관 폐쇄나 유착은 성형 수술이나 인공 수정을 통해서 임신이 가능합니다. 6.기타 난소의 다낭성 낭포증, 난소 부전, 지나친 체중 감소 혹은 증가, 스트레스 등에 의해 배란이 규칙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배란 유도제를 주사하여 배란을 돕습니다. 자궁 경부의 점액 분비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인공 수정을 시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