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끈건강 생생정보

HOME풀마루와 유기농불끈건강 생생정보

불끈건강 생생정보

제목 [성인병 말끔] 기운이 없고 소화가 안돼요, 명절 증후군?!
작성자 풀마루 작성일 2018-02-13 조회수 1869


 

설 연휴가 끝나고 이제 다시 건강하게 일상으

로 복귀하는 일이 남았다. 긴 이동시간과 생활

환경의 변화, 날씨 등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많으므로 어느 때보다 주의가 필요한 시기이다.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홍성엽 교

수의 도움말로 연휴 후 응급실을 찾게 만드는

질환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응급처치법을 소

개한다.

 

 

평상시와 다른 복통 증세 있는지 살펴야

 

지난해 추석 대전성모병원 응급의료센터를 찾

은 환자를 증상별로 살펴보면 복통, 구토, 두통,

, 어지러움, 호흡곤란 등의 순으로 많았다.

통은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급성 중증질환

에서 기능장애에 의한 만성 질환까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그중 명절 전후 가장 흔한

소화기 증상으로 장염과 과식으로 인한 위장장

애가 꼽힌다. 장염은 복통과 더불어 구토와 설

사를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 미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감기로 착각하기 쉽지만

설사가 잦거나 며칠간 변을 보지 못한다면 병

원을 찾아야 한다. 소아 바이러스성 장염 치료

시에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지사제를 쓰지 않

는 것이 원칙이다. 지사제를 복용한다면 실제로

는 설사로 인해 체내에 수분이 부족하고 탈수

가 심한데도 겉으로는 설사가 없는 것처럼 보

여 병의 경과를 잘못 판단하기 쉽다. 설사가 심

한 아이에게는 6시간에서 8시간가량 어린이 설

사용 전해질 용액(포도당 전해질 용액)을 먹게

하거나 병원을 방문해 정맥주사로 수액요법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 위장장애의 경우 명절 때 먹는 음식이 기름

진 것이 많은데다 종류도 많기 때문에 흔히 생

긴다. 체한 증상으로 오인할 수 있는 질환으로

흔한 병이 담낭 및 담관 결석이다. 식사 후에

반복적으로 체한 듯한 복통과 메스꺼움이 나타

난다면 담석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이 질환은

지방질 섭취가 증가하고 비만인구가 증가하면

서 현대인에게 점점 많이 나타나고 있는 질병

중의 하나다. 과식과 음주를 피하고 적절한 운

동을 하고 평상시와 다른 양상의 복통이 있다

면 병원에서 복부 진찰을 반드시 받아 봐야 한

.

 

 

영유아 발열은 주의 깊게 보세요

 

발열은 영유아를 둔 가정의 경우 특히 주의 깊

게 살펴야 한다. 체온의 높고 낮음보다는 아이

의 컨디션 및 동반된 다른 증상들이 평가 및

치료에 훨씬 더 중요하다. 3개월 미만의 영아에

38도 이상의 발열, 3개월 이상·3세 미만의

어린이의 38.9도 이상 발열, 연령과 상관없이

40도 이상의 발열을 보이는 경우에는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가정에서 발열에 대처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은 해열제를 복용하는 것이며, 흔히 사용되는

해열제는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세토펜, 타이레

, 챔프 등)과 이부프로펜 계열(부루펜, 맥시부

, 키즈앤펜)이 있다. 이러한 해열제를 사용할

경우 발열로 인한 아이의 불편감을 감소시키고,

체온을 1~1.5도 낮춰줄 수 있다. 아스피린은 18

세 미만에는 권장되지 않는다.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은 필요에 따라

4~6시간마다 투여할 수 있지만 함께 투여하지

않으며, 교차로 2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

, 24시간 내에 각 5회 이상 투여해서는 안된

. 이부프로펜은 6개월 미만의 아이에게는 사

용을 권장하지 않으며, 두 약물의 용량은 모두

아이의 연령이 아닌 체중에 따라 계산된다.

열제는 발열이 있어 필요할 때에 투여해야 하

며 증상이 해결되면 중단해야 한다.

 

 

명절 스트레스로 생기는 두통

 

두통 또한 명절에 받는 스트레스 등으로 흔한

증상이다. 가장 흔한 것은신경성 두통이다.

리 전체가 띵하고 무겁다거나 머리가 꽉 조여

든다든지 뒷목이 뻐근하고 당긴다고 호소한다.

신경성 두통은 오랜 심리적 긴장상태, 불안감,

과로,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어깨, 목덜미,

얼굴, 머리 부위의 근육들이 오랫동안 뭉치게

되어 이들 근육사이로 지나가는 말초신경과 혈

관이 눌려서 목덜미나 머리 전체가 멍하고 통

증이 발생하게 된다. 두통이 심하지 않은 경우

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로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약제를 습관적으로 장기

복용하는 것은 오히려 약제의 부작용이나 약물

의존성 만성두통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반

드시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다.

 

또한 연휴가 끝난 뒤 상실감을 겪는 상황이 생

길 수 있다. 주부들의 경우 무릎, 허리 등 신체

의 통증 외에도 가슴이 답답하고, 우울해지고,

자주 잠을 설치는 등 꼭 집어서 말할 수 없는

정신적인 부분까지 다양한 증상들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 우울증도 마찬가지다. 오랜만

에 찾아온 아들, 며느리, 손자가 각자의 집으로

다 돌아가고 나면 썰렁해진 마음에 우울감이

들기 쉽다. 노인 우울증이 특히 위험한 것은 젊

은 사람과 달리 본인의 치료 거부와 가족들의

무관심 등으로 인해 제때 진단 및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 우울증

의 증상은 슬픈 기분이라든지 절망감 같은 우

울증의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기보다는 불면증,

설사, 식욕저하 등과 같은 신체적인 증상으로

나타난다.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

과 홍성엽 교수는연휴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

해서는 일과 후 가벼운 스트레칭, 충분한 수분

섭취 후 온찜질이나 온욕을 통해 근육을 이완

하고 피로를 푸는 것도 도움이 된다과식을

피하고 수분과 비타민이 풍부한 제철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는 것도 일상으로의 빠른 복귀를

도와준다고 말했다.

 

출처: 헬스조선 http://health.chosun.com/site/data/
html_dir/2017/10/10/2017101000765.html

 


삭제하기 수정하기 목록으로